리눅스에서 생성하는 파일들에 대한 접근 권한 설정
권한 구분
drwx rwx rwx
1 리소스 종류
2~4 소유자 권한
5~7 그룹 권한
8~10 기타사용자 권한
-는 접근 불가능 나타냄
권한파일디렉토리
읽기 (r) | 사용자가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음 | 사용자가 디렉토리 내 파일 목록을 볼 수 있음 |
쓰기 (w) | 사용자가 파일을 변경할 수 있음 | 사용자가 디렉토리 내 파일과 디렉토리를 생성 및 삭제할 수 있음 |
실행 (x) | 사용자가 실행 파일을 실행할 수 있음 | 사용자가 디렉토리 이동 및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있음 |
chown 명령
chown [-옵션] 새소유자명 파일명or디렉토리명
옵션설명
-c | 변경된 파일들에 대해 자세한 메시지 보여줌 |
-R |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까지 변경 |
-v | 작업 진행 상태를 자세하게 보여줌 |
새소유자명 | 파일에 대한 새 소유자의 이름 지정 |
파일명 | 변경할 파일 지정 |
디렉토리명 | 변경할 디렉토리 지정 |
chgrp 명령
chgrp 그룹명 파일명or디렉토리명
groups 명령 --groupadd, groupdel
사용자가 속한 그룹명 알고싶은 경우 사용 groups#groupadd –g GID(그룹 번호) 신규그룹디렉토리명 : 새로운 그룹명 만들기
#groupdel 삭제할 그룹명 : 그룹명 삭제하기
#gpasswd [옵션] 그룹명 : 기존 그룹에 가입 및 탈퇴 –a옵션으로 추가, -d로 삭제
파일/디렉토리의 접근허가 권한 의미
Unix의 파일과 디렉토리는 소유자, 소유자 속한 그룹 기타 사용자별 읽기, 쓰기, 실행의 접근허가 권한을 갖는다.
chmod(CHange MODe)명령
chmod명령을 사용하면 파일, 디렉토리의 접근 허가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. 기호모드와 8진수 모 드를 이용해 파일의 접근 허기를 변경하며 보통 8진수 모드가 널리 사용된다.
기호모드
chmod [ugoa] [+or-] [rwx] 파일명or디렉토리명
기호의미
u | 사용자 |
g | 사용자가 속한 그룹 |
o | 기타 사용자 |
a | ugo 모두를 의미 |
+ | 사용권한 부여 |
- | 사용권한 삭제 |
r | 읽기 사용권한 허가 |
w | 쓰기 사용권한 허가 |
x | 실행 사용권한 허가 |
8진수 모드
chmod 8진수허가모드 파일명or디렉토리명
허가상태2진수8진수설명
rwx | 111 | 7 | read, write, execute 허가 |
rw- | 110 | 6 | read, write 허가 |
r-x | 101 | 5 | read, execute 허가 |
r-- | 100 | 4 | read 허가 |
-wx | 011 | 3 | write, execute 허가 |
-w- | 010 | 2 | write 허가 |
--x | 001 | 1 | execute 허가 |
--- | 000 | 0 | 접근 금지로 사용 불가 |
umask 명령
파일과 디렉토리 생성시 자동적으로 접근 권한 모드를 설정하는 명령
umask [마스크] : 파일은 666 디렉토리는 777이 기본 접근 권한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i 편집기 (0) | 2024.10.01 |
---|---|
리눅스 cheatsheet (1) | 2024.10.01 |